HTML은 콘텐츠를 가지는 태그와 가지지 않는 태그로 나뉜다.
1) 콘텐츠를 가지는 태그: 열리는 태그(시작태그) + 콘텐츠 + 닫히는 태그(종료테그)
ex) <div> 콘텐츠 </div>
2)콘텐츠를 가지지 않는 태그: 단일 태그
<br /> cf) />: 단일태그를 위한 셀프 클로징
<!DOCTYPE html> <!-- 1. 문서 버전 -->
<html lang = 'ko'> <!-- 2. HTML 문서 시작 선언 및 문서 기본 언어 설정 -->
<head> <!-- 3. 문서에 필요한 정보가 기입되는 곳 -->
<title>문서 제목</title> <!-- 4. 문서의 제목-->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style.css" />
</head>
<body> <!-- 5. 실제 사용자가 눈으로 볼 수 있는 문서의 내용이 입력되는 곳-->
<span>인라인</span>인라인 옆에 글자
<div>나는 블록</div>
</body>
</html>
<head>
사람 눈에 보이지 않는 “문서의 정보”가 담기는 영역
1) 타이틀: 제목
2) 메타 데이터: 인코딩 정보, 문서 설명, 문서 작성자
*charset은 문서에서 허용하는 문자의 집합이다. charset에 선언된 “문자의 집합” 규칙에 따라 문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문자가 제한된다. 따라서 모든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인코딩을 뮤티에프 8로 설정해야 한다.
*style 헤드 안에서 스타일을 바꿔줌
*link태그는 컨텐츠를 가지지 않는 단일 태그이다.
<link rel=‘stylesheet’ href=“style.css” />
*script태그: 셀프 클로징이 아닌 종료태그를 작성해야 한다.
1) 콘텐츠 방식
<script>
const hello = ‘world’;
consle.log(hello);
</script>
2) 링크 방식
<script src=‘script.js’></script>
* script파일은 파일 확장자명을 줄임말로 사용함 .html이나 .css가 아닌 .js로 사용함
<body>
사람 눈에 실제로 보이는 콘텐츠 영역
body 태그는 block레벨 요소와 inline레벨 요소로 나뉜다.
1) block레벨 요소는 브라우져 가로 너비에 꽉 차게 되며 여백을 지정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페이지의 구조적 요소를 나타낸다. 인라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, 인라인 요소에 포함된 ㄹ수 없다.
ex) <div>, <article>, <section>, ...
2) inline레벨 요소는 블록과 다르게 크기를 조절할 수 없고 좌/우로만 여백을 넣는 것이 가능하다.
ex) <span>, <a>, <strong>, ...
레이아웃
1) div: 콘텐츠 분할 요소
2) <header>: 블로그 글 제목, 작성일 등의 주요 정보를 담는 태그
3) <footer>: 페이지의 바닥줄에 사용되며 저작권 정보, 연락처 등 부차적인 정보를 담는 태그
4) <main>: 페이지의 가장 큰 부분으로 사이트의 내용 즉, 주요 콘텐츠를 담는 태그, 한 번만 사용 가능
5) <section>: 콘텐츠의 구역을 나누는 태그로, 신문지에서 여러 기사가 각자의 구역에서 각자의 정보를 전달하는 의미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태그
6) <article>: 블로그 포스트 같이 정보를 전달하는 독립적인 태그
7) <aside>: 문서의 주요 내용에 간접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태그로 쇼핑몰의 오른쪽에 따라다니는 “오늘 본 상품” 같은 것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.
<p> 문단태그
문단에서 하나의 문단을 나타내는 태그이다. 제목 태그와 함께 사용하기도 하고 단독으로 사용되기도 한다. <p>태그는 레이아웃처럼 사용하면 안 된다.
서식태그
<b>: 단순히 굵은 글씨로만 변경
<strong>: 굵은 글씨로 변경 후 강조의 의미를 부여한다.
<i>: 기울임과 동시에 텍스트가 문단의 내용과 구분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다.
<em>: 기울임과 내용에 강조를 나타낸다.
<u>: 밑줄을 넣고 주석을 가지는 단어임을 나타낼 수 있다. 단순하게 밑줄만 긋는 용도로만 사용하면 안된다.
<s>: 단순히 시각적인 취소선만 추가된다.
<del>: 문서에서 제거된 텍스트를 나타낼 수 있다. <ins>태그를 함께 사용하면 제거된 텍스트 옆에 추가된 텍스트를 표현할 수 있다.
링크 이동
<a>: 클릭하면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는 링크 요소를 만들 수 있다.
멀티미디어
<img>: 문서 내에 이미지를 넣을 수 있는 태그
<figure>,<figcaption>: 하나의 독립적인 콘텐츠로 분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넣을 수 있는
태그
<video>: 문서 내에 영상을 첨부할 수 있는 태그
<audio>: 문서 내에 소리를 첨부할 수 있는 태그
리스트
<ul>: 정렬되지 않은 목록 태그, 태그의 자식요소로 <li>태그만 들어와야 한다.
<li>: 목록을 구성하고 다양한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.
<ol>: 정렬된 목록 태그, 태그의 자식요소로 <li>태그만 들어와야 한다.
<dl>,<dt>,<dd>: 설명 목록 태그
표
<table>: 표를 만드는 태그
<tr>태그로 행을 구분할 수 있다.
<td>태그로 열을 생성할 수 있다.
<th>태그를 사용하면 셀의 제목을 만들 수 있다.
<thead>는 제목 그룹 태그이다.
<tbodty>는 표 본문 요소 태그이다.
<tfoot>는 표 바닥글 요소 태그이다.
<caption>은 표 설명 태그이다.
외부 콘텐츠
<iframe>: 현재 문서 안에 다른 html 페이지를 삽입할 수 있는 태그
양식태그
<form>: 정보를 제출하기 위한 태그, 정보를 입력하고 선택할 수 있는 input,selectbox, textarea등을 가질 수 있다.
설명과 입력
<lable>: input, textarea, selectbox의 설명을 작성할 수 있는 태그
<input>: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는 대화형 태그
'AI > 데이터 엔지니어링 데브코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주차-3] 파이썬으로 웹 다루기 - 원하는 요소 가져오기 (0) | 2023.04.19 |
---|---|
[2주차-2] 파이썬으로 웹 다루기 - HTTP (0) | 2023.04.19 |
[1주차-5] 코딩테스트 연습 - 힙, DFS/BFS, 동적 계획법(Dynamic Programming) (2) | 2023.04.14 |
[1주차-4] 코딩테스트 연습 - 해시, 그리디, 정렬 알고리즘 (0) | 2023.04.13 |
[1주차-3] 코딩테스트 연습 - 큐, 트리, 힙(3) (0) | 2023.04.13 |